지갑 복구 후 자산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 입력한 복구 단어(니모닉 코드)가 정확한지
그리고 복구 후 계정을 추가했는지 먼저 확인해 주세요.
[복구 단어(니모닉 코드)가 정확한지 확인]
- 복구를 진행할 때 입력한 24개 복구 단어가 실제로 자산이 담긴 지갑의 니모닉 코드인지 확인해 주세요.
- 지문인증형 지갑의 경우 최초 지갑 생성 시 표시된 복구 단어를 'Recovery Sheet(복구 단어 기록 시트)' 카드에 기록하여 보관하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 다른 복구 단어를 입력하면 다른 지갑 주소가 생성되어 기존 자산이 표시되지 않습니다.
- 만약 복구 단어가 유출되었다면 누구나 다른 지갑에서 복구하고 자산을 옮길 수 있습니다.
[앱 월렛 사용 시 복구 단어 확인]
- 앱 월렛(소프트웨어 지갑)을 사용한다면 디센트 앱 [Settings > 앱 월렛 백업] 메뉴에서 복구 단어 확인이 가능합니다.
[복구 후 계정 추가 여부 확인]
- 지갑 복구가 완료된 후에는 디센트 앱 [My Wallet] 탭 > (+) 버튼을 눌러 기존에 관리하하던 코인 계정을 직접 추가해야 자산이 표시됩니다.
- 만약, 기존에 관리하던 계정이 Kaia(카이아), Ethereum Classic(이더리움 클래식), RSK(루트스탁) 등이라면 레거시 계정을 추가해야 자산이 표시될 수 있습니다.
[복구된 지갑 주소와 기존 주소 일치 여부 확인]
-
복구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다면 기존 주소와 일치하는지 확인하길 바랍니다.
예: 이더리움(ETH), XRP, Kaia 등의 주소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