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거래소는 트래블룰 규정에 따라 개인 지갑 주소 등록 정책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업비트와 빗썸 등 국내 거래소에서 디센트 지갑으로 자산을 출금하려면
각 거래소의 정책에 따라 주소 등록 절차를 진행해야 합니다.
거래소, 출금 금액, 출금 네트워크(EVM 계열 여부)에 따라 방법이 달라지니 아래 내용을 참고해 주세요.
[업비트 거래소]
1. 100만 원 미만 출금 시
- 2025년 2월 13일부터 사전 주소 등록 필수
-
디센트 지갑 ‘받기(Receive)’ 화면 스크린샷 제출 방식으로 주소 등록 가능
업비트 가이드 바로가기
2. 100만 원 이상 출금 - EVM 호환 자산 (ETH, KAIA, POLYGON, BSC 등)
- 디센트 지갑의 EVM 호환 주소를 메타마스크에 연동
-
메타마스크 연동 후 업비트에 개인 지갑으로 주소 등록 후 출금 가능
메타마스크 연동 방법 바로가기 - 디센트 지갑 업비트 주소 등록 유튜브 가이드 안내
3. 100만 원 이상 출금 - EVM 비호환 자산 (BTC, XRP, XLM, SOL 등)
- 업비트에서는 하드웨어 지갑 직접 등록 불가
-
코빗 또는 코인원 거래소로 먼저 출금 → 이후 디센트 지갑으로 전송
[빗썸 거래소]
1. 100만 원 미만 출금 시
- 2025년 4월 1일부터 사전 주소 등록 필수
-
업비트와 동일하게 디센트 지갑 ‘받기(Receive)’ 화면 스크린샷 제출 방식으로 주소 등록 가능
빗썸 공지사항 바로가기
2. 100만 원 이상 출금 - EVM 호환 자산 (ETH, KAIA, POLYGON, BSC 등)
- 디센트 지갑의 EVM 호환 주소를 메타마스크에 연동
- 메타마스크 연동 후 빗썸에 개인 지갑으로 주소 등록 후 출금 가능 (업비트 등록 방법과 유사함)
3. 100만 원 이상 출금 - EVM 비호환 자산 (BTC, XRP, XLM, SOL 등)
- 업비트와 마찬가지로 하드웨어 지갑 직접 등록 불가
- 코빗 또는 코인원 거래소로 먼저 출금 → 이후 디센트 지갑으로 전송
[코빗 · 코인원 거래소]
- 하드웨어 지갑 등록 지원
- 업비트나 빗썸에서 EVM 비호환 자산을 디센트 지갑으로 출금 시 이용 권장
-
코빗 · 코인원 거래소 주소 등록 유튜브 가이드 안내
[참고사항]
- 디센트 모바일 앱 v6.0.0 이상 → "내 정보" 메뉴가 "거래소 개인 지갑 인증"으로 변경 되었습니다.
거래소 개인 지갑 인증 가이드 바로가기 -
각 거래소의 트래블룰 정책 및 지갑 등록 방식에 따라 상이할 수 있습니다.
다른 거래소 이용 시 반드시 해당 거래소의 정책을 확인해 주세요.
❓연관 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