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암호화폐 자산의 사기 수법이 갈수록 교묘해짐에 따라 이러한 피해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디센트에서는 금융감독원과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DAXA)에서 제작한 가상자산 연계 투자사기 사례 및 피해 예방법을 안내합니다.
다음은 DAXA에서 제작한 "2024 가상자산 연계 투자사기 사례집"에서 요약 발췌한 내용입니다.
관련 사례를 참고하셔서 피해를 보지 않도록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원문을 볼 수 있습니다.
2024 가상자산 연계 투자사기 사례집 원문 바로가기 >>
피해 사례 내용
- 피해자 甲은 SNS를 통해 국내 대형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고 시가 총액이 큰 ★★코인을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하는 A라는 업체를 소개받아 투자를 권유받음.
- A는 ★★코인으로 대량 수익을 약속하고 대신 시세 급락을 방지하기 위해 락업 기간을 설명하며, 손실에 대한 보증서를 제시하여 甲을 안심시킴.
- 甲은 A 업체를 믿고 금액을 입금하고 A가 지시한 방법대로 지갑 앱을 내려받았으나 전송된 코인은 이름만 똑같고 전혀 다른 컨트랙트 주소의 가짜 코인이었음.
- 해당 사실을 모르는 甲은 락업 해제 예정 날짜가 지나도 락업이 풀리지 않아 A 업체에 연락을 시도했으나 A 업체는 이미 모든 SNS 채널을 삭제하고 잠적한 뒤였음.
해당 피해 예방법
-
시세 대비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한다는 판매자 또는 업체를 주의하세요.
특히 시세 대비 저렴한 가격으로 매입을 한 뒤 수개월 뒤 수백 퍼센티지 이상의 수익을 발생시킬 수 있다고 홍보하거나 투자를 권유한다면 이는 명백한 사기 행위입니다. -
가짜 코인에 주의하세요.
코인의 이름은 같지만, 컨트랙트 주소가 다른 가짜 코인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누군가가 유명 코인을 시세 대비 저렴한 가격으로 매입할 수 있다고 권유한다면, 이름을 사칭한 가짜 코인일 가능성이 있으니 의심해야 합니다. 코인게코나 코인마켓캡에서 의심되는 코인을 검색하고 지원 네트워크 정보와 컨트랙트 주소를 확인해야 합니다. 지원 네트워크 정보에 없는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경우, 그 코인이 가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지급보증서(확약서)를 작성하였다고 안심해선 안 됩니다.
투자로 인한 피해에 대한 보상을 약속하는 서류를 작성하여 투자자를 안심시키는 행위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해당 업체의 의도를 판단하기는 어렵지만, 쉽게 큰 이익을 약속하면서도 작성하는 서류를 믿어서는 안 됩니다.
출처 :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DAX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