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센트 고객센터를 통해 접수된 사기 피해 사례를 공유합니다.
지갑 사용자분들께서는 관련 사례를 참고하여 피해를 보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다음은 고객센터 또는 임직원 사칭 사기 피해 사례입니다.
1. 고객센터 사칭 피해 사례
- 미국에 거주하는 A유저는 디센트 지갑으로 XRP 코인을 전송하는 데 문제가 있어 디센트 고객센터를 찾기 위해 인터넷(구글 등)을 검색하였고 확인된 연락처 "+1) 813-XXXX-XXXX"를 통해 연락을 시도함.
- A유저는 위 연락처의 상대방과 통화를 하였고 상대방은 A유저의 자산이 동결되었다면서 지갑을 복구해 주겠다고 함.
- 상대방은 A유저에게 지갑 복구를 할 수 있다는 사이트 링크를 보내주면서 지갑의 24개 니모닉 코드를 요구함.
- 이에 이상하다고 느낀 A유저가 디센트 공식 고객센터를 통해 문의를 접수하였음.
- 디센트 본사는 한국에 있으며, 고객센터 연락처 또한 한국 국가 번호(+82)로 되어 있기 때문에 디센트를 사칭하는 사기꾼을 조심하라고 가이드하였음.
피해 예방 방법
- 디센트의 본사인 (주)아이오트러스트는 한국에 있으며, 고객센터 대표 번호 또한 "+82) 02-1833-4022" 으로 전화 상담은 한국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운영합니다.
- 다른 국가에서 위 번호로 연락하면 국제전화 발신 및 시차로 인해 상담이 제한될 수 있으니 다른 국가에 거주하신다면 1:1 문의를 남겨주시길 바랍니다.
- 디센트에선 절대로 사용자에게 24개 니모닉 코드를 물어보지 않습니다.
2. 지갑 회사 임직원 사칭 피해 사례
- 영국에 거주하는 B유저는 자신이 이용하는 어떠한 서비스의 자금 문제로 텔레그램 채널을 초대받아 "Dr Sadek" 이라는 자와 대화를 시도하였음.
- 상대방은 HBAR 코인을 B유저 본인의 앱 월렛으로 보내면 B유저 계정에 있는 자금을 복구해 주겠다고 함.
- B유저는 상대방을 믿었고 그의 요청에 따라 지문인증형 지갑의 자산을 본인의 앱 월렛으로 보냈으나 모든 자산이 인출되어 사라졌음.
- 여기까지 볼 때 해당 사례는 "Dr Sadek" 이라는 자가 B유저의 휴대폰에 어떠한 프로그램(백도어 추정)을 설치 해달라고 요청했을 것이고 이후 B유저가 자신의 앱 월렛으로 자산을 보냈지만 미리 설치된 프로그램 때문에 앱 월렛의 니모닉 코드가 유출되어 자산을 잃게 된 것으로 추정됨.
- 피해를 당한 B유저는 디센트 공식 고객센터에 문의를 제출하였고 이에 디센트에선 사기꾼에 의해 니모닉 코드가 유출된 것으로 추정되니 하루빨리 경찰서 등에 신고하라는 가이드를 하였음.
- 그러나 경찰서의 답변이 지연되자 B유저가 잃게 된 자산을 찾을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찾던 중 이번엔 "Bernard S. Farnworth" 이라는 자가 디센트 선임 개발자라면서 자산을 복구해 주겠다고 함.
- 이에 디센트에선 그러한 사람은 디센트 회사에 소속되어 있지 않으니 디센트를 사칭하는 사기꾼을 주의하라고 추가 안내함.
피해 예방 방법
- 디센트 고객센터의 공식 문의 경로는 "https://dcentwallet.zendesk.com/hc/requests/new"입니다.
- 상기 경로로 접수된 문의 외에 다른 방법으로 답변드리지 않습니다.
- 디센트 고객센터에선 임직원의 이름을 직접 밝히지 않습니다. 누군가가 디센트 임직원이라고 하면서 연락하였다면 즉시 디센트 고객센터 대표번호(02-1833-4022) 또는 1:1 문의를 남겨주시길 바랍니다.
3. 소셜 채널 사칭 피해 사례
-
사례 1)
C유저는 디센트 지갑에 보유 중인 토큰 가격 정보 표시 등의 문제로 텔레그램에서 디센트 지원팀이라는 채널을 통해 대화를 진행하였음.
그리고 어떠한 사이트 링크를 C유저에게 보내주면서 이곳을 통해 토큰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지갑의 24개 니모닉 코드를 입력해야 한다고 요청함.
이를 이상하게 여긴 C유저는 디센트 공식 고객센터에 문의를 제출하였고 이에 디센트에선 해당 사용자에게 디센트가 운영 중인 텔레그램 채널은 없으니 사칭 사기를 조심하라고 안내함. -
사례 2)
D유저는 X(구 트위터)에서 자신이 디센트 개발자라고 하는 어떠한 사용자를 통해 지갑 복구를 위해 24개 니모닉 코드가 필요하다는 요청을 DM으로 받았음.
이에 D유저는 해당 X 사용자에게 자신의 니모닉 코드를 전달해 주었고 뒤늦게 사기당했다고 깨달았으나 사기꾼이 모든 자산을 빼낸 뒤였음.
해당 사실을 디센트 공식 고객센터에 문의를 제출하였고 이에 디센트에선 X를 통해 사용자에게 절대로 DM을 보내지 않으며, 디센트를 사칭하는 X 계정을 주의해달라고 안내함.
피해 예방 방법
- 디센트는 현재 텔레그램 채널을 운영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텔레그램 스캠에 주의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
디센트의 공식 X(구 트위터) 계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영어 : https://x.com/DCENTwallets (@DCENTWALLETS)
한국어 : https://x.com/DCENTWALLETS_KR (@DCENTWALLETS_KR)
일본어 : https://x.com/DCENTWALLETS_JP (@D'CENTWALLETS_JP) - 아울러 디센트에선 사용자에게 DM으로 연락하지 않습니다.
위의 사례와 유사한 방법으로 사기 피해를 봤다면 즉시 다른 안전한 주소로 모든 자산을 이동하고 가까운 관할 경찰서나 사이버 수사대 등 법 집행기관 등을 통해 신고하여 도움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한국 지갑 사용자들은 사이버범죄 신고시스템(ECRM)을 통해 신고할 수 있습니다.